상단 배너 영역

이곳

[2020년 10월호]
문화가 깃든 우리 지역 이야기


독서의 계절 가을. 가을에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읽고 싶어질 때가 있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마치 그 속에 들어가 있는 기분이 들곤하죠. 작가들에게 영감을 준 장소들을 실제로 만나본다면 어떨까요? 문학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지역 곳곳을 탐방하러 가볼게요!

윤동주의 시를 품은 집, 전남 광양 진월면 정병욱 가옥

서브2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 / 이미지출처 : 지역N문화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섬진강가에 있는 작은 마을 망덕리에는 ‘시(詩)를 품은 집’이 있습니다. 바로 윤동주 유고를 보존하고 있는 정병욱 가옥입니다. 1941년, 시인 윤동주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시집을 발간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탄압이 극심했던 일제의 검열에 걸릴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죠. 윤동주는 시집의 원고 묶음을 세 부 만들어서 후배이자 벗인 정병욱에게 주었습니다. 정병욱은 윤동주의 믿음을 저버리지 않고 망덕리 자기 집의 마루 밑에 몰래 간직했다가 해방이 되자 책으로 펴냈습니다. 그 덕분에 지금껏 우리들도 윤동주의 시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껍데기는 가라!” 충남 부여 신동엽 가옥 터

서브3

부여 신동엽 가옥 터 / 이미지출처 : 지역N문화


충남 부여의 신동엽 가옥 터는 『껍데기는 가라』로 알려진 신동엽(申東曄, 1930~1969) 시인이 유년기부터 신혼시절까지 살았던 집터입니다. 장편서사시 『금강』은 병 때문에 손이 마비된 신동엽이 불러주는 것을 동료 시인이자 신동엽의 아내였던 인병선(印炳善, 1935~ )이 받아 적어 완성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로 인해 시인 신동엽은 39년이라는 짧은 생을 살다 갔지만, 한국 시문학에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문학사에 빛나는 오누이, 청도 내호리 이호우·이영도 생가

서브4

청도 이호우와 이영도 생가 / 이미지출처 : 지역N문화


한국 시조문학의 현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이호우의 작품 「살구꽃 핀 마을」은 그의 생가인 내호리 유천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의좋은 오누이 시인인 이호우와 이영도는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훗날 빼어난 작품들을 창작하는 정서적 바탕을 키웠습니다.

이호우는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남로당 간부라는 누명을 쓰고 사형당할 뻔했고, 작품이 반공법에 걸리는 필화사건을 겪기도 했습니다. 이호우는 평생 시조를 185편밖에 쓰지 못했으나 그의 시조는 한국문학사에 깊은 족적을 남겼습니다. 이호우의 여동생 이영도는 평생 폐침윤 등의 지병으로 고생했으나, 빼어난 시조집과 수필집을 남겼습니다. 1910년경에 건축된 내호리의 생가 인근에는 두 사람의 시비(詩碑)가 서 있는 ‘오누이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소설 [태백산맥]의 무대, 전남 벌교의 구 보성여관

서브5

구 보성여관 앞면 전경 / 이미지출처 : 문화재청

서브6

구 보성여관 중정 / 이미지출처 : 문화재청


구 보성여관은 조정래의 대하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남도여관’의 실제 장소입니다. 소설에서 반란군 토벌대장 임만수와 대원들이 숙소로 이용한 곳입니다. 조정래는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부터 벌교에서 보낸 어린 시절 기억을 바탕으로 잊혀가던 옛 벌교를 소설을 통해 살려냈습니다. 보성여관은 한국인 강활암이 일본인들을 상대로 여관을 하기 위해 일본풍으로 지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급자재로 지어진 보성여관은 당시 번성했던 벌교의 옛 모습을 보여줍니다.

수많은 역사소설의 산실,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

서브7

덕산 양조장 전경 / 이미지출처 : 지역N문화

서브8 서브9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 / 이미지출처 : 지역N문화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역사소설 부문을 개척한 월탄 박종화가 살았던 근대한옥입니다. 서울 옛 중인계급의 전형적인 가옥으로 이미 오래전 해외에 소개된 적이 있었고, 자유당 시절 ‘한국의 집’을 계획하면서 이 가옥을 모델로 삼았다고 전해집니다. 해방 전부터 많은 문인들이 모여 갖가지 협회를 조직하고 밤새워 문학을 논한 의미 있는 장소입니다.

그는 이곳에서 『여인천하』, 『세종대왕』, 『양녕대군』, 『임진왜란』, 『월탄 삼국지』 등의 수많은 역사소설을 썼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영화나 TV 드라마로 만들어져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죠.

박종화 가옥은 원래 종로구 충신동에 있었던 고옥을 1975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온 것입니다. 그는 충신동 집의 안채와 사랑채, 대문채 일부를 해체하여 평창동으로 옮겨와 그대로 조립했습니다. 건물은 남북으로 길게 배치되었는데 맨 위쪽에 행랑채가 서향으로 놓이고 그다음 ‘ㄱ’자형 안채가 남향으로 놓여 있습니다. 사랑채는 서향하여 배치되었고 사랑채 맞은편에 대문이 있습니다. 2004년 9월 4일, 문화재청은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 등 3동을 등록문화재 제89호로 지정했습니다.

연관 콘텐츠

서브10 서브11 서브12

서브13 서브14